jasu's blog
블로그 메뉴글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분류체계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체계 설정
1 분류기준
2.3.1장에서 세운 체계의 효율적 구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 기준으로 그 기준을 수립 하였다. 첫째, 크게 전통 디자인 산업 영역과의 직접 대상에 해당하는 항목이면 ‘인터랙션 디자인’으로 분류하되 컴퓨터그래픽 응용 대상은 ‘컴퓨터그래픽디자인’으로 분류하고, IT 및 인터넷 산업 영역과의 복합 대상에 해당하면 ‘웹디자인’으로, 콘텐츠 산업영역과의 복합 대상이면 ‘디지털콘텐츠디자인’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분류체계임을 확실히 하여 관련 분야 및 해당 산업 분야의 항목을 탑다운 방식으로 분류한다. 분류체계는 실제 적용에 있어 복잡성을 없애기 위해 단순화하여 2차원 배열의 계층적 구조를 갖도록 구축하여 최대한 효율화한다. ‘디지털미디어디자인’으로 분류되는 대분류 체계 하에 분류구조 및 코드체계는 대분류/section (디지털미디어의 미디어를 표기하는 약어인 M을 사용하여 표기 한다.), 중분류/division (11~99의 두자리 숫자 사용), 세분류/group 및 중점연구 개발과제 /class (111~999 및 1111~9999, 각각 세자리~네자리로 표기)로 세분하되, 상위코드의 체계를 따르도록 한다. 구분은 도트 구문의 형태나 각각을 하나씩의 필드로 분리하여 표기하고, 물론 하위분류가 없는 경우에도 자리 수는 고정하여 00으로 표기하여 4단위 필드로 작성 하도록 한다. 즉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의 경우 해당 코드는 M.11.111.1112로 표기하게 되며, 중분류의 경우 총 88개의 분류체계로 나뉠 수 있고, 소분류의 경우 총 888개, 중점연구의 경우 총 8888개의 분류체계 코드를 할당 할 수 있다. 대부분 복합적 상관관계를 갖는 디자인 분류의 특성상 모든 항목은 코드를 병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같은 항목이라도 몇 가지의 해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표 15> 분류기준 및 코드 체계(예시)
2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체계도
앞에서 언급한 디자인 조사 DB의 특성에 맞추어 예상되는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체계의 구조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체계적 톱다운 방식의 분류체계를 지원 할 수 있는 자료 체계로 작성하였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톱다운 방식의 분류체계에 적용 될 수 있는 적합한 사례로는 학제적 분류 체계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학제적 분류 체계의 장점으로는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 접근이 가능한 보편적인 분류 체계라는 점이다. 따라서 학제적 분류 체계의 기본 방향 역시 사용자의 접근성을 위해 가장 보편적인 체계를 따르고, 조사 DB 구축의 최적화를 위해 최대한 간결하게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제품, 시각, 환경 및 패션디자인과 함께 대분류로 확정, 분류되어 지는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영역을 학제적, 산업적 현상에서 쉽게 유추 할 수 있도록 크게 4가지의 중분류체계 (인터랙션디자인, 컴퓨터그래픽디자인, 웹디자인, 디지털콘텐츠디자인)를 기본 축으로 하고, 각각의 하위에 총 20개의 세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인터랙션디자인 중분류에는 유저인터페이스, 탠저블인터페이스, 소셜인터페이스, 사용성엔지니어링, 정보아키텍쳐를 설정하여 모든 전통 디자인 영역에서의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 특성의 요구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디자인 방법 위주의 중분류 항목으로 컴퓨터그래픽디자인을 설정하였다. 산업적 인력의 요구가 많은 웹디자인 분야를 별도로 분리하여, 웹 정보 디자인, 웹 페이지 디자인, 웹 마스터링으로 중분류하여 양적 수요에 적합한 전문 분류를 구축하였다. 가장 세분화 되어 복합 산업화 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 중분류의 경우 타이틀 콘텐츠, 디지털 영상, 디지털 애니메이션, 모바일 콘텐츠, 디지털 게임, 디지털 방송으로 다양화 하였고, 기타 영역 전반에 걸쳐 있는 인터랙티브미디어, 실험디자인, 디지털 사운드, 저작권, 디지털미디어 이론을 기타 중분류 체계로 설정하였다. 기타 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실제 현상을 파악한 시대별 요구를 수용하여 일반적으로 쉽게 유추 및 사용이 가능한 용어로 항목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세분류에 중점 연구 개발 과제를 명시하여 지속적인 추가와 개념을 용이하게 처리하였다.
-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체계도 개괄
F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체계도 (중점연구 개발과제 포함 - 통합 코드 적용)
중분류 분야 | 세분류 분야 | 중점연구 개발과제 |
F01 인터랙션디자인 (Interaction Design) |
F001 유저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
F0001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GUI: Graphic) |
F0002 피지컬유저인터페이스 (PUI: Physical) | ||
F0003 오디토리유저인터페이스 (AUI: Auditory) | ||
F002 탠져블인터페이스 (Tangible Interface) |
F0004 버츄얼리얼리티 (Virtual Reality) | |
F0005 어구멘티드리얼리티 (Augmented Reality) | ||
F003 소셜인터페이스 (Social Interface) |
F0006 쇼셜사이언스 (Social Science) | |
F004 사용성엔지니어링 | F0007 Human Factors | |
F0008 Cognitive Engineering | ||
F0009 HCI | ||
F0010 사용성평가 | ||
F005 정보아키텍쳐 | F0011 Informatics | |
F0012 정보디자인 | ||
F02 컴퓨터그래픽디자인 (Computer Graphic Design) |
F006 컴퓨터응용산업디자인 | F0013 컴퓨터 모델링 |
F0014 컴퓨터 렌더링 | ||
F0015 디지털 이미징 | ||
F0016 CAD/CAM | ||
F0017 Rapid Prototyping | ||
F0018 디자인 DB 구축 | ||
F007 컴퓨터그래픽스 | F0019 컴퓨터 이미징 | |
F0020 프레젠테이션 그래픽 | ||
F0021 3D 모델링 | ||
F0022 컴퓨터 매핑 | ||
F0023 컴퓨터 애니메이션 | ||
F0024 디지털 특수효과 | ||
F0025 CG 프로그래밍 | ||
F03 웹디자인 (Web Design) |
F008 웹정보디자인 | F0026 웹 콘텐츠 기획 |
F0027 웹 정보 설계 | ||
F0028 웹 네비게이션 | ||
F0029 웹 인터랙션 | ||
F009 웹페이지디자인 | F0030 메타포 | |
F0031 웹 칼라 | ||
F0032 아이콘 디자인 | ||
F0033 웹 타이포그래피 | ||
F0034 웹 그래픽이미지 | ||
F0035 웹 애니메이션 | ||
F0036 웹 레이아웃 | ||
F0037 웹 3D-VR | ||
F0038 웹 스타일가이드 | ||
F010 웹마스터링 |
F0039 웹 코딩 | |
F0040 웹 프로그래밍 | ||
F0041 웹 데이터베이스 | ||
F0042 웹 관리 및 유지 | ||
F04 디지털콘텐츠디자인 (Digital Content Design) |
F011 타이틀콘텐츠 |
F0043 타이틀 기획 |
F0044 정보 디자인 | ||
F0045 그래픽 디자인 | ||
F0046 인터페이스 디자인 | ||
F0047 오쏘링.마스터링 | ||
F012 디지털영상 |
F0048 스토리텔링 | |
F0049 모션 그래픽스 | ||
F0050 타이틀 그래픽스 | ||
F0051 디지털 영화 | ||
F0052 실험 영상그래픽 | ||
F013 디지털애니메이션 |
F0053 애니메이션 기획 | |
F0054 컴퓨터애니메이션(2D) | ||
F0055 컴퓨터애니메이션(3D) | ||
F0056 캐릭터 디자인 | ||
F014 모바일콘텐츠 |
F0057 모바일 콘텐츠 기획 | |
F0058 모바일 인터페이스 | ||
F0059 아이콘 디자인 | ||
F0060 모바일 그래픽스 | ||
F0061 모바일 프로그래밍 | ||
F015 디지털게임 |
F0062 게임 기획 | |
F0063 시나리오 디자인 | ||
F0064 게임 그래픽 | ||
F0065 게임 프로그래밍 | ||
F0066 사운드 디자인 | ||
F016 디지털방송 | F0067 방송 콘텐츠 기획 | |
F0068 디지털 방송 그래픽 | ||
F0069 자막.OSD 디자인 | ||
F0070 디지털 효과 | ||
F0071 EPG | ||
F0072 ON DEMAND | ||
F05 기타 |
F017 인터랙티브미디어 |
F0073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
F0074 인터랙티브 프로덕트 | ||
F0075 인터랙티브 아트 | ||
F0076 인터랙티브 프로그래밍 | ||
F0077 컴퓨팅 미학 | ||
F018 실험디자인 |
F0078 실험 애니메이션 | |
F0079 인터랙션 실험 | ||
F019 디지털사운드 |
F0080 사운드 디자인 | |
F020 저작권 |
F0081 콘텐츠 저작권 | |
F0082 보호기술 | ||
F021 디지털미디어 이론 | F0083 디지털미디어 역사 | |
F0084 디지털미디어 비평 |
.3 분류체계 평가, 진단
이상과 같이 다양한 분류 체계의 분석 및 사례를 통한 용어의 추출과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한 구축이 실제 학계와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중심으로 설문을 포함하여 자문협의를 실시하였다. 참여시킨 기관과 전문가 집단은 (사)한국인포디자인학(협)회 및 (사)디지털디자인학회로 한정하되, 다양한 디자인 분야 뿐 아니라, 인문, 사회, 공학 분야의 전문가를 최대한 포함하여 진단하였다. 설문 및 자문결과를 토대로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분류 체계를 수정, 보완하여 최종 안을 완성하였다.
출처 : 한국 HCI연구회